옥골(송도역세권) 도시개발구역 (남구→연수구)
- 위치: 남구 학익동 595-2 일원(63필지)
- 현황: 기존부터 경계가 모호했던 지역이며 민간에서 시행 중인 도시개발사업 구역으로, 도로를 경계로 개 발구역 설정에 따라 단일 구역 내에 2개 자치구가 혼재해있다.
- 조정: 현재 남구 지역 26,147㎡를 연수구로 조정했다.
- 효과: 도시개발 사업구역이 남구와 연수구로 나눠져 있어, 사업 추진 시 각종 행정절차를 남구와 연수구 2개 자치구에서 이중으로 처리함에 따라 비용증가와 행정처리 기간 및 각종 협의 지연 등 기업애로가 있으며, 또한 지역주민들은 행정구역상 남구지만 실생활은 연수구가 생활권으로 지역적 이질감을 느끼고 행정서비스를 이용할 때도 불편했다. 그러나 이제 각종 처리 절차의 일원화로 기업의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기대할 수 있고, 주민들의 행정서비스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
용현·학익1블럭 도시개발구역 (연수구→남구)
- 위치: 연수구 옥련동 63-7 일원(54필지)
- 현황: 기존부터 경계가 모호했던 지역이며 민간에서 시행 중인 도시개발사업 구역으로, 도로를 경계로 개 발구역 설정에 따라 단일 구역 내에 2개 자치구가 혼재 해있었다.
- 조정: 연수구 지역 21,368㎡를 남구로 조정
- 효과: 도시개발 사업구역이 남구(98.6%), 연수구 (1.4%)로 나눠져 있어, 사업 추진 시 각종 행정절차를 남구와 연수구 2개 자치구에서 이중으로 처리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했고, 행정처리 기간 및 각종 협의 지연 등 기업들의 애로사항이 많았다. 이에 인천시는 주민의견청취 및 공청회, 관계행정기관(부서 등) 협의, 구의회 의견청취, 입안권에 대한 결정 등 자치구 협의, 개별사업인가(주택사업승인, 건축 인·허가 등), 각종 개발사업 관련 보고 등을 펼쳤다. 이를 통해 각종 처리 절차가 일원화되어 기업들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신동아조합A 연접지역(남구↔동구)
- 위치: 남구 도화동 20-6 일원 (17필지)
- 현황: 신동아조합A 개발 시 제외된 부지로 LH에서 시행 중인 대헌학교주거환경개선지구에 포함되어 개발 예정이다. 노후불량주택 및 나대지로 신동아조합A와 옹벽 및 경사지로 분리되어 있고, 동구지역을 통해 진 입한다.
- 조정: 남구 지역 864㎡를 동구로 조정
- 효과: 사업구역 내 잔여지의 맹지화로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에 어려움이 있으며, 토지소유자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거환경개선사업 수행 시 각종 행정절차를 남구와 동구 2개 자치구에서 이중으로 처리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했고, 행정처리 기간 및 각종 협의 지연 등 기업들의 애로사항이 많았다. 그러나 앞으로는 지역 주민들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각종 처리 절차의 일원화로 기업들이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KT 인천지사 부지(남구→남동구)
- 위치: 남동구 간석동 소재 KT 인천지사(8,976㎡) ※ 주민 미거주 지역
- 현황: 건물 대부분(8,527㎡, 95%)은 남동구 관할, 부속주차장 및 건물 일부(449㎡, 5%)만 남구 관할로, KT지사 이용객 및 인근 주민은 남동구 간석동으로 알고 있었다.
- 조정: 남구 지역 449㎡를 남동구로 조정
- 효과: 각종 세금납부와 행정서비스 처리기관 통합으 로 기업들의 불편이 해소된다.
도원역사(남구→동구)
- 위치: 동구 금창동 및 남구 숭의1·3동 경계의 1호 선 전철역사
- 현황: 대지면적 62,851.6㎡(동구 22,700.6㎡/남구 40,151㎡) 하나의 전철역사가 2개 자치구로 나눠져, 도원역사 전체 대지면적 62,851.6㎡(건축면적 2,994.14㎡, 연면 적 3,613.3㎡)에서 남구 관할이 크나(7:3), 역사사무 실과 주출입구가 동구에 위치해 있어 동구에서 행정 처리를 하고 있다.
- 조정: 도원역사 중 남구지역 40,151㎡를 동구로 조정
- 효과: 행정구역을 일원화함으로써 역사 내 사고 등 각종 행정 처리 시 권한이나 책임 소재가 명확해져 분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