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

호주 빅토리아주, 직장인 업무상 정신적 손해 예방사업에 지원금

 

호주 빅토리아주는 직장 근로자의 업무상 정신적 손해를 예방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할 목적으로 ‘안전한 직장, 건강한 직장(WorkSafe, WorkWell)’ 프로그램을 시행 중이다. 

 

빅토리아주의 정신적 손해 산재보상 청구율은 11%로, 호주 전체 평균의 2배다. 이에 따라 빅토리아주 산업안전부는 정신적 손해의 예방과 사전대응책 강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정신적으로 안전한 근로환경 구축을 위해 ‘안전한 직장, 건강한 직장’(이하 ‘건강한 직장’) 프로그램에 1,700만 호주달러(142억 8,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건강한 직장’의 주요 프로그램 세 가지는 건강한 직장 툴킷(WorkWell Toolkit), 건강한 직장 정신건강 개선 펀드(WorkWell Mental Health Improvement Fund), 건강한 직장 배움 네트워크(WorkWell Learning Networks) 등이다. 

 

건강한 직장 툴킷은 긍정적이고 정신적으로 건강한 직장을 만드는 데 도움되는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건강한 직장 정신건강 개선 펀드(이하 ‘정신건강 펀드’)는 정신건강과 웰빙을 촉진하거나 취약 근로계층의 정신적 손해를 방지하는 사업을 선정해 재정지원을 한다. 건강한 직장 배움 네트워크는 산업 단체, 고용주 연합회, 근로자 대표 등이 산업안전 전문가들과 함께 정신적으로 건강한 직장을 만드는 데 협력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활동에 재정을 지원한다. 

 

세 가지 중 정신건강 펀드가 주요 프로그램으로 산업계, 근로자·지역사회 단체 등이 새로운 일하는 방식을 도입할 수 있도록 재정을 지원하는 것으로 2017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현재 6개 단체가 정신건강 펀드의 재정지원을 받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업당 최소 25만 호주달러(2억 1,000만 원)에서 최대 200만 호주달러(16억 8,000만 원)를 최대 3년까지 지원한다.

 

업무상 재해 중 정신적 손해는 신체적 손해보다 발생률은 낮지만, 그 영향은 훨씬 커 직장에 직접적인 경제적·비경제적 피해를 준다. 신체적 손해에 따른 업무 중단 기간은 평균 5.3주지만, 정신적 손해로 인한 업무 중단은 13.8주로 훨씬 길다.

 

업무 관련으로 발생한 정신적 손해에 따른 연간 생산성 손실이 109억 호주달러(9,265억 원)로 추산된다. 정신적 손해의 종류로는 불안장애와 우울증(단독 혹은 결합)이 45%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업무 스트레스 장애(37%)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12%) 순이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2025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성황리에 개최

전남 곡성군(군수 조상래)에서는 '2025 전국생활체육대축전'에 궁도와 에어로빅힙합 2개 종목을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반구정과 문화체육관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전했다. 목포시를 주 개최지로 20개 시군에서 분산 개최된 이번 전국생활체육대축전에서 곡성에서 진행된 궁도 경기에는 300여 명, 에어로빅힙합 경기에는 500여 명이 각각 참가했다. 전국의 생활체육인들이 참가한 이번 대회에서 메달을 놓고 벌이는 각축전은 종목 특유의 흥과 볼거리로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대회 내내 뜨거운 인기와 호응을 이끌었다. 곡성군은 이번 체전을 위해 분야별로 실무추진단을 꾸리고 곡성군체육회, 체육 종목 관련 단체들과 협업해 선수단과 관람객을 맞이하는 데 최선을 다했다. 특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유관기관과 협조 체계를 강화함은 물론 민관학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교통대책, 경기장 주변 정리 등 전국에서 오는 선수단이 불편함이 없이 최상의 컨디션으로 경기에 임할 수 있도록 빈틈없이 꼼꼼하게 챙겼다. 곡성군 관계자는 "이번 전국생활체육대축전 개최를 통해 대회준비 및 대회 기간 동안 전국의 선수단이 우리 지역에 머물면서 지역경제에 큰 보탬이 됐다"라면서 "전국에 곡성을 알리는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