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광산구] 기업지원과 민원, 전문가가 나서서 콕콕 집어 해결해 주는 광산구기업주치의센터

 

2H7A0287.JPG

 

경제가 살아야 지역이 산다. 광주 제조업의 90%가 위치한 광산구에는 더 와 닿는 구호다. 특히 김삼호 광산구청장은 기업들이 정책지원 정보가 부족하거나 민원 해결이 늦어져 어려움을 겪는 일이 없도록 기업주치의센터를 개소해 운영하고 있다.

 

광주시 산업 대표도시인 광산구 

광산구는 하남, 소촌일반, 소촌농공, 평동, 진곡산단 등 광주시 산단면적의 54%를 차지하고 있으며, 입주기업의 60%가 자리 잡고 있는 광주시 산업대표 도시다. 2018년도 말 기준, 기업체수는 개별입지를 포함하여 2,380개소, 근로자 수는 4만 8,644명이다. 또한 현재 조성·분양 중인 평동3차와 올해 말 1단계 준공하는 빛그린산단에 본격적으로 기업입주가 시작되면, 광산구는 ‘광주형 일자리’를 포함하여 자동차산업과 연계한 완성차공장과 부품, 연구개발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업종들이 융합된 명실상부한 명품산업도시로서 입지를 다질 것으로 보인다. 

광산구는 산단 입주기업의 55%가 금속가공 및 기계, 자동차부품 제조업 등으로 금형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주력 사업인 자동차·가전·광산업의 대표기업인 금호타이어, 기아자동차(하남), 삼성전자, LG이노텍 등 종업원 300인 이상인 대기업이 약 1% 미만으로 입주해 있으며, 이들 대기업을 중심으로 관련 하청업체인 중소기업이 대거 입주해 있다. 

특히 광산구 전 사업체 중 93%가 50인 미만 소기업으로 이들 기업의 고용률이 구 전체 고용률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지역 내 소기업들이 산업경제를 실질적으로 견인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545265131983197699710726738_0.jpg

 

전문가의 맞춤형 처방으로 기업들의 살길을 찾아주는 기업주치의센터 

광산구는 2018년 12월 평동비즈니스센터에 기업주치의센터를 개소했다. 이곳에서는 경영·기술·금융·마케팅 분야 전문가들이 기업의 애로를 진단하고 정부 지원 사업을 연계하는 ‘경제주체들의 전문 주치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2018년 12월에 평동비즈니스센터 1층에 ‘기업지원 현장민원실’ 문을 열어 운영 중이며, 올 2월에는 기업 현장으로 직접 찾아가서 민원접수에서 처리까지 원스톱으로 해결해주는 ‘기업지원 부르ME 9301서비스’도 추진 중이다. 

 

undefined

 

중소기업과 골목상권의 든든한 동반자

지난 12월19일 개소한 ‘기업주치의센터’는 중소기업과 더불어 소상공인, 사회적경제 기업 등을 아우르는 현장 맞춤형 컨설팅 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지역 기업들이 쉽게 알기 힘든 중앙정부와 광주시의 산재되어 있던 지원정책들을 지역 형편에 맞게 알기 쉽게 재구성한 책자 ‘광산구 사장님을 위한 알/쓸/비/책(알아두면 쓸모있는 신비한 정책사업)’을 제작 발간했다. 올해도 정부 지원정책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해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알려 이해를 높이고, 자금·기술·창업·수출 등 분야별 현장 상담창구도 마련해 업종별 맞춤형 컨설팅도 진행했다. 앞으로도 광산구의 기업들의 특성에 맞는 특화된 정책을 발굴하고,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확장해나가 4차산업혁명에 맞춰 지역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함께 만들어나갈 것이다. 
 

2H7A0302.JPG

 

‘찾아가는 서비스’ 기업지원 현장민원실

‘기업지원 현장민원실’을 운영으로 기존 산업단지 내 기업인들이 민원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구청 방문에 들었던 시간을 단축하고 번거로움을 개선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 기업의 생산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또 올 2월에 시행한 ‘기업지원 부르ME 9301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부르ME’는 고객이 찾아오기 전, 고객이 원하면 언제 어디로든 관에서 고객의 필요사항을 찾아 현장으로 찾아간다는 의미이다. ‘9301’은 ‘9’는 구청에, ‘3’은 세 번 방문할 민원을, ‘0’은 one-stop으로 ‘1’은 한 번에 처리한다는 의미로, 기업 민원현장 체감 만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 

김양숙 기업경제과장은 “광산구는 어려움을 겪는 경제주체들이 힘을 내도록 지역의 모든 부문, 각계의 연대로 광산구의 모든 역량을 기울일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업인들의 요구에 맞는 현장 밀착형 업무지원 시스템 구축 및 정책 발굴 실현으로 일과 돈, 사람이 몰리는 광산형 경제모델을 세워 전국에 전파하도록 노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특히 “기업주치의센터가 중소기업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제 역할을 감당해 여민동락의 말처럼 더불어 잘 사는 광산구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춘천시 바이오 비전 밝힌다"...육동한 시장, 다롄에서 성장 전략 제시

육동한 춘천시장은 다롄 우호도시를 방문 춘천시의 바이오산업 육성정책과 미래성장 비전 청사진을 제시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18일 다롄 샹그리라호텔 3층에서 개최된 우호도시 원탁회의에 참석 춘천 바이오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원탁회의는 다롄시가 '5월 국제개방월'을 맞이해 우호도시를 대상으로 개최한 회의다. 이 자리에는 슝 마오 핑 다롄시 당서기, 천 샤오 왕 다롄시장, 다마쓰 타쿠야 일본 이와테현 지사, 김응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중국사무소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자리에서 육 시장은 "춘천시 69개 바이오기업은 연매출 1조 5000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며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연구개발특구 유치 추진 등 미래산업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혁신특구, 국가첨단 전략산업 특화단지 등 체계적이고 선도적인 바이오 산업 정책을 공유했다. 한편 춘천시는 지난 2003년 다롄시와 우호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래 행정, 문화, 관광 분야에서 22년간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산업 분야까지 교류 협력 지평을 확대해 나가는 기회의 장이 됐다는 평가다. [지방정부티비유=전화수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