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빅뱅, 뒤바뀐 미래

 

코로나19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달라질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불확실한 시대, 이 책은 미래의 가능성과 기회를 찾는 방법을 알려줄 것이다.

 

코로나19, 미래를 바꾼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넉 달. 우리 삶도 많이 바뀌었다. 마스크를 쓰지 않고는 외출할 수가 없고, 개인 간의 거리도 뚝 떨어졌다. 
사상 초유의 위기를 맞이한 이 시점에, 코로나19 이후의 시대를 가늠하기가 어려워졌다. 불확실성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우리의 일상을 바꾼 것에서 더 나아가 소비와 생산, 교역, 이동 등 모든 것을 멈추게 했다. 특히 경제 상황이 나쁜 상태에서 코로나19가 겹치며 국가 재정의 미래가 더욱 불투명해졌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대규모 행사는 줄줄이 취소됐고 7명 이상이 모이는 모임과 집회를 자제해달라는 중앙재난대책본부의 문자 메시지가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뒤바뀐 미래,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 언택트
첫 번째 키워드는 코로나19 시대에 달라진 개인의 삶과 일상생활이다. 그 변화의 핵심은 ‘언택트’. 대면으로 이뤄지던 일들이 비대면, 비접촉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많은 사람이 북적이는 쇼핑센터나 영화관 등은 기피하는 공간이 됐고, 결혼식이나 장례식같은 인륜지대사도 참석하기가 꺼려진다. 
무엇보다 언택트는 집에서 보내는 시간을 크게 증가시켰다. 타인과의 만남이나 모임을 자제하다 보니 집 밖으로 나가는 일은 아무래도 위험해진 것.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필요한 물품은 온라인으로 구매하고, 학교 교육을 원격 수업이 메우기도 한다. 


# 코로나19 시대의 경제와 산업구조 
생활방식이 바뀌면서 경제와 산업 구조도 판도가 바뀌고 있다.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고 비대면을 선호하는 문화가 자리 잡는 가운데 온라인 유통업체가 새로운 호황을 맞이한 것이다. 
배달 산업과 IT 기기 관련 산업, 홈오피스 산업에도 기회가 찾아들었고 원격의료와 같은 원격기술에 근거한 산업의 성장도 전망되고 있다. 

 

# 코로나19 시대의 금융과 투자 
금융 분야에서는 현금 없는 사회가 앞당겨질 것이다. 이미 금융 분야에 디지털화가 가속화하면서 현금 사용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지폐나 동전에 바이러스가 묻어 있을 것을 우려하면서 현금 사용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신용카드도 접촉하지 않는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로 들어섰다. 주식시장에서는 의료 및 바이오, 제약 IT 관련 기업처럼 주목받는 기업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 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채권 시장은 금리 하락을 점치는 사람들이 많다. 다만 세계 경제가 회복세로 돌아선다면 채권보다는 주식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초유의 사태 코로나19 상황을 맞이해 선제적으로 준비가 필요하다. 《코로나 빅뱅, 뒤바뀐 미래》는 현장 밀착 취재와 국내외 전문가들의 믿음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이다. 누구에게나 위기는 있다. 하지만 먼저 진단하고 분석을 통해 미리 준비하는 사람은 살아남을 것이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