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는 감염병 정보 통합관리와 지역감염 조기 차단 등 선제적 대응을 위해 올 하반기까지 전국 지자체 최초로 ‘감염병관리센터’를 설립한다.
감염병관리센터 개소 및 역할
강남구 선별진료소를 확대·개편한 감염병관리센터는 지상 2층, 지하 1층 규모에 2개 이상의 음압진료실을 갖춘 단독 건물로, 감염병 전문 의료인·역학조사관 등 전문 인력을 상시 배치해 해외 입국자나 어르신 등 취약계층을 집중 관리한다.
평상시에는 결핵, 매독, 에이즈 등 감염병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위기 시에는 대량 검사 및 신속 진단을 통해 지역사회 감염을 조기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감염병 전문 병원 및 질병관리본부 등 방역 당국과의 유기적인 연계와 협력을 통해 통합적 상황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감염관리 우수 의원 인증제 도입
아울러 강남구는 올 하반기부터 감염관리에 모범적인 의료기관을 발굴하는 ‘감염관리 우수 의원 인증제’를 국내 최초로 도입한다. 관내 의료기관은 총 2,700개소로 서울시의 15%에 해당하며,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다.
또 구는 환자 이송 과정 중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서울시 최초로 음압 장치와 필터링 장치를 갖춘 특수구급차를 구입해 본격 운행을 시작한다. 주로 대형병원만 운영하는 음압 특수구급차는 정순균 구청장이 구민의 건강안전을 위해 자치구에서도 필요하다고 판단한 뒤 도입하게 됐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코로나19 검사 시행
한편 강남구는 지난 1월 26일부터 비상근무체제로 선별진료소를 개설한 이후 선제적인 코로나19 검체검사를 시행해 7월 1일 현재 2만 2,583건으로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인원을 검사하고 있다.
지난해 실시한 결핵 역학조사에서도 90건으로 서울시 전체 조사량의 10%를 기록하는 등 신속·정확한 대량검사를 실시하며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다.
비대면 복지행정 시스템 마련에 박차
한편 강남구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언택트(비대면) 사회로 접어든 만큼 비대면 복지행정 시스템 마련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 6월부터는 대면 상담이 필요치 않은 단순 의료·복지급여 관련 서류는 모바일을 통해 신청받고, QR코드(전차출입명부)를 활용한 ‘복지시설 방문자 스마트 출입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구청 홈페이지와 ‘더강남’ 앱을 통해 민원 대기 시간과 민원인 간 접촉을 최소화하는 스마트 민원 서비스를 추진한다.
구 자체적으로는 부구청장을 단장으로 31개 전 부서장이 참여하는 포스트 코로나 TF(태스크포스)가 출범했다. 앞으로 주 1회 회의를 열어 비대면 민원행정, 온라인 복지 서비스, 지역경제 체질 개선, 웰니스 관광 등 새로운 정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