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사례

유튜브, 트위터 퍼져 있는 대한민국이 일본보다 공무원이 많다?

2018년 일본의 어느 지방 방송국 패널은 한국의 새 대통령에 관한 주제로 이런 말을 했다. “일본의 공무원은 30만 명밖에 되질 않는데, 일본 인구의 절반도 안 되는 한국이 81만 명의 공무원을 고용한다면, 한국은 그야말로 공무원 국가가 되는 것.” 이 패널의 발언은 사실 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한국의 유튜브, 트위터 등으로 퍼져나갔다. 과연 사실일까?

 

정답은 ‘아니다’다. OECD가 2년마다 발간하는 국가별 비교 분석 연구에 따르면, 2013년 기준 대한민국의 공무원 비율은 7.4%, 일본의 비율은 7.6%이다. 비율로는 0.2%의 미미한 차이를 보이지만, 인구수 대비 공무
원 숫자를 계산해보면 그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표 1)

 

 

2015년 기준 대한민국의 인구는 5,101만 명, 일본의 인구는 1억 2,710만 명으로 집계됐다. 일본 패널의 분석 방식에 따르면, OECD 발표에 의거한 대한민국의 공무원 수는 총 인구수 5,101만 명의 7.4%, 즉 377만 4,740명으로 대략 377만 명 인 데 반해, 일본의 공무원 수는 965만 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실제 단순 계산으로도 일본의 공무원 숫자가 한국의 수보다 약 600만 명 앞선 것으로 나타난다. (표 2)

 

 

2017년 OECD가 발표한 기준을 따라도 결과엔 변함이 없다. 2017년 대한민국 공무원 비율은 7.7%로 인구수 대비 분석으로는 395만 4,720명으로 추산되는 반면, 일본의 공무원 비율은 상대적으로 하락한 5.89%로 수치상 약 747만 명에 해당한다. 일본의 공무원 비율이 떨어진 데는 자연적 인구 감소에 따른 공무원 수 하락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은 2015년에 비해 2017년 인구수가 35만 명 늘어 인구 증가율 0.69%를 기록하고 있지만, 이에 발맞춰 늘어난 공무원 비율은 0.3%에 그치고 있다.

 

물론 공무원 비율로는 2017년 대한민국이 일본을 역전한 것으로 보이나, 그 숫자를 따져보면 그렇지도 않다. 2017년 일본 인구 1,268억 명 기준으로 삼아 공무원 숫자를 짐작해보면 746만 8,520명에 달해, 동년 대략 395만 명의 고용한 대한민국과 비교하면 일본이 한국보다 352만 명의 공무원을 더 고용하고 있다.
 
OECD는 2년마다 국제노동기구(ILO)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고 있으며, 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기업 및 사회보장기금에 종사하는 공무원 그리고 정부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비영리 기구 공무원도 포함해 통계를 산출한다. OECD 회원국들은 공통된 위 기준에 의거해 공무원 수를 취합하여 ILO에 제출하기 때문에 다른 자료에 비해 신빙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원주시, 가정의 달 맞이 원주몰 30% 할인 행사

원주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공식 인터넷 쇼핑몰인 ‘원주몰(원주몰.com)’에서 5월 31일(토)까지 관내 200여 기업이 참여하는 기획전을 실시한다. 시는 기획전 기간 원주몰에 입점한 전체 상품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5월 한 달간 매주 화요일(6일·13일·20일·27일) 오전 10시에 30% 할인쿠폰(최대 3만 원 할인)을 선착순으로 발급한다. 쿠폰은 원주몰 회원이라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으며, 1만 원 이상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일로부터 2일간 유효하다. 이에 더해 5월 9일과 10일 단계동 AK백화점 열린광장에서 원주몰 연계 특판전을 실시, 오프라인으로도 시민들을 찾아갈 계획이다. 엄병국 기업지원일자리과장은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기획전을 준비했다.”라며, “감사선물을 준비하고 있는 소비자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혜택을 얻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 기업지원일자리과 기업육성팀(033-737-2982)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