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들, 서해를 안은 시흥 '늠내길' 걸어볼까?

도심은 물론 산과 들, 강과 바다 자연 환경을 고루 갖춘 시흥시가 2009년부터 14년간 갈고 닦은 '늠내길' 5코스까지 내놨다. 

 

 

고구려시대 지명 '잉벌노'를 우리말로 풀어낸 시흥, 잉벌노의 당시 표현 '늠내'에서 따온 늠름하고 씩씩한 길 늠내길은 코스마다 색다른 매력을 뽐낸다. 후덥지근한 도심을 살짝만 비켜나면 짙푸른 녹음이 드리운 늠내길을 만날 수 있다. 

 

늠내길 1코스는 온통 숲으로 채워져있다. 시흥시청에서 출발해 장현동을 거쳐 군자동 일대 군자봉 둘레, 능곡동 운흥산 둘레를 돌아 시청으로 복귀하는 코스다. 약 13㎞를 도는 걷기길로, 걸을수록 짙은 숲내음이 느껴진다. 

 

 

늠내길 2코스는 갯골길로, 옛 염전의 정취를 느껴볼 수 있다. 내만 갯골을 끼고 양옆으로 옛 염전이 펼쳐져 있다. 시흥 대표 명소 갯골생태공원도 만날 수 있다. 서해선 시흥시청역 3번 출구에서 시작해 장현천을 따라 갯골길을 걸을 수 있다. 최근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소래염전 소금창고로 이어진 약 16㎞의 갯골길에서 옛 염전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늠내길 3코스는 숲으로 이루어진 '옛길'이다. 옛사람이 다녔던 산자락과 고갯길을 만들어 여우고개, 하우고개, 계란마을처럼 예스러운 이름을 지닌 길이 즐비하다. 약 13㎞ 걷기길로 이루어진 옛길 구간을 걷다보면 소래산 중턱에 들어서 장군바위에 새겨진 높이 15m의 소래산마애불상입상을 마주하게 된다. 

 

 

늠내길 4코스는 서해안의 낙조를 감상하고 바람을 맞을 수 있는 '바람길'이다. 약 15㎞에 이르는 바람길은 옥구공원에서 출발해 해안가를 따라 오이도길을 지나 도심 속 개천과 숲길로 이어진다. 옥구공원의 가장 높은 자리에 오르면 서해와 시화방조제, 대부도가 한눈에 보인다. 새들이 날아와 똥을 많이 눈다고 해서 일명 '똥섬'으로도 불리는 덕섬은 서해의 아름다운 풍광이 펼쳐져 여행자의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늠내길 5코스 정왕둘레길은 쉬엄쉬엄 걷기 편한 걷기 길이다. 작년 개통한 5코스는 정왕동을 품은 둘레길로 시작과 끝이 만나는 13㎞의 순환길이다. 지형이 평탄해 걷기에 편하며 주변에 정왕역과 오이도역이 가깝고 옥구공원과 함줄도시농업공원 등 거점지 주차장을 활용할 수 있어 접근이 편리하다. 

 

 

도심 속 자연을 느껴볼 수 있어 많은 시민이 사랑하는 '늠내길.' 시흥시는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이를 시민에게 돌려주기 위해  '시흥 종주 늠내길'을 기획 중이며, 내년 가을쯤 만날 수 있을 거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시, APEC 손님맞이 전통시장에 영문 안내판 영문 메뉴판 비치

경주시는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외국인 방문객 맞이 전통시장 환경개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1일 시에 따르면, 오는 6월까지 총사업비 1억 원(전액 시비)을 투입해 관내 전통시장 5곳에 다국어 안내체계를 구축하고 노후시설을 정비할 계획이다. 사업은 △다국어 서비스 개선 △시설 인프라 정비 등 2개 분야로 구성됐다. 다국어 서비스 개선 부문에서는 안강시장 등 4개소에 2,000만 원을 들여 영문 간판을 병기하고, 불국사상가시장에는 500만 원을 투입해 상가 안내도를 교체한다. 중앙시장 야시장과 성동시장 먹자골목에는 1,500만 원을 들여 다국어 메뉴판을 제작·비치할 예정이다. 시설 인프라 정비 분야에서는 황성상점가의 노후 간판을 500만 원을 들여 교체하고, 외동시장에는 3,000만 원을 투입해 통행로를 정비한다. 성동시장에는 2,500만 원의 예산으로 분리수거장을 새롭게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달 사업 시안 검토를 마쳤으며, 이달부터 공사에 착수해 다음 달까지 모든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사업은 전통시장의 이용 환경을 개선하고, 외국인 관광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