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국민이 파이팅하는 2023년

2022년 한 해가 저물고 2023년 새해입니다.

‘다사다난’으로도 다 표현되지 않는 힘들고 어려운 한 해였습니다.

2022년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모두 바뀌는 해여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기대보다는 힘든 한 해가 되고 말았습니다.

 

통합과 협치보다는 대립하고 갈등하는 국내 정치도 문제려니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연초부터

세계 경제와 국제 정치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기 시작했습니다.

가뜩이나 북한 핵 문제로 어려운 한반도에 설상가상 이었죠.

그 결과로 3고(고물가, 고금리, 고환율)현상은 우리 경제와 민생에

직격탄이 되고 있습니다.

또 10·29 이태원 참사는 국민을 참담케 하였고,

국제 사회에도 낯을 들 수 없는 초대형 재난이었습니다.

 

2023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요?

OECD는 2023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1.8%로 세계 경제 성장률

3.1%보다 낮게 전망했고, 정부가 발표한 ‘2023년 경제정책 방향’에서도

1.6%로 제시했습니다.

 

마티아스 콜먼 OECD 사무총장은 각국 정부가 위기 극복을 위한

단기 및 중기 정책 수단을 동원해 회복의 기반을 다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2023년 새해는 우리 국민에게 꿈과 희망이 필요합니다.

우리 지방정부가 앞장서 민생을 챙기면 힘이 나겠습니다.

위기는 기회, 성장은 타이밍입니다.

중앙정치에 휘둘리지 않는 뚝심으로

서민이 살 만하다고 느끼도록 경제 성장을 제안합니다.

일방통행 아닌 협치로~요.

 

2023년 받고 싶은 선물로 모두 부자 되세요~.

 

2023년 1월 《지방정부》, 《지방정부 tvU》 발행인 이영애 

배너

발행인의 글


MG새마을금고재단, 청년 주거비 지원 '내집잡기 6기' 모집

MG새마을금고 지역희망나눔재단(MG새마을금고 재단)은 2023년 MG희망나눔 청년주거 장학사업 내집(Home)잡(Job)기 6기를 모집한다. 지원대상은 주거비 지원이 필요한 청년 100명을 대상으로 1인당 월 최대 25만원씩 6개월간 총 150만원 상당을 지원한다. 신청자는 소득 기준, 주거계약기준, 자기소개서 등 1차 서류심사, 2차 비대면 면접심사를 통해 최종 선발된다. 모집기간은 오는 3월 20일부터 4월 14일까지 약 한 달간 온라인 신청을 통해 접수되며, 자세한 사항은 MG새마을금고 재단 홈페이지 및 내집 잡기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차훈 MG새마을금고재단 이사장은 “청년주거 장학사업은 2018년부터 지속해 온 사업으로, 현재 청년들이 고물가 · 고금리 · 고환율 등 3고라는 어려운 여건에 설자리를 찾기가 쉽지 않다”고 밝히며, “청년들이 꿈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가장 확실한 투자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청년이 꿈과 포부를 가지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MG새마을금고 재단이 늘 곁에서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헬싱키시 바닷물 이용 가정 난방사업 추진

핀란드 수도 헬싱키시가 바닷물을 이용해 가정 난방을 하는 지속 가능한 난방사업에 착수했다. 발틱해 해저까지 닿는 터널을 건설해 바닷물을 퍼 올린 다음 히트 펌프로 지역난방을 위한 전기를 생산한다는 복안이다. 현재 가동 중인 석탄발전소 2개 중 하나가 해수 이용 에너지 사업 기지로 바뀌고 석탄발전은 2024년 중단된다. 상온을 유지하는 심층 해저수를 끌어올려 히트 펌프로 재처리해 열을 생산하는 바닷물 이용 난방사업은 앞으로 2년 내에 사업계획을 구체화하고 5년 이내에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의 추정 사업비는 약 4억 유로(5,456억 원)이다. 헬싱키 최대 에너지 기업인 헬렌 오이(Helen Oy)가 스페인 건설사 Acciona SA, 지역인프라기업 YIT Oyj와 손잡고 이 사업을 시행한다. 헬렌 오이에 따르면 2021년에 헬싱키 지역난방의 75% 이상에 화석연료가 사용됐다. 시 당국은 앞으로 해수를 이용해 헬싱키 가구 40%의 난방을 해결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았다. 현재 대다수 헬싱키 가정은 석탄과 천연가스를 사용해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지구난방시스템으로 난방을 한다. 헬싱키 건축물 90% 이상이 이 난방시스템에 연결돼 있고 2개의 석탄 이용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