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푸드페스티벌 친환경 축제로 거듭나

구미푸드페스티벌에 다회용기 사용해 폐기물 3.6톤 감축

 

구미푸드페스티벌이 다회용기 사용으로 폐기물 3.6톤을 줄였다. 

 

16일 구미시에 따르면 10월 28일부터 29일까지 이틀 간 구미시 광평천 공영주차장에서 펼쳐진 구미푸드페스티벌이 야외 음식 축제임에도 친환경 축제로 운영됐다고 평가 받는다. 

 

올해 축제는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 다회용기 사용 △ 아이스크림콘을 비빔밥 나눔 용기로 활용 △ 음식물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 분리·보관하는 프레시존을 설치해 친환경 축제로 발돋움했다. 

 

복개천 주차장 70여개의 음식 부스에서 다양한 음식을 선보였음에도 시민들이 손수 먹은 음식을 치우고 정리하는 성숙한 시민 의식을 보이기도 했다. 

 

다회용기 사용에 따른 쓰레기 감량 효과 분석 결과, 폐기물 3.6톤을 감축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이산화탄소 3.96톤을 줄인것과 같은 효과로 1,687그루의 나무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것과 맞먹는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이번 축제를 통해 다회용기 사용 등 친환경 축제를 만들기 위해 발판을 마련했으며, 라면 축제 등 앞으로 개최되는 축제도 친환경으로 치러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발행인의 글


인천시의회, 기후위기 시대 안전한 도시 조성 생각한다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기후위기 시대의 시민이 안전한 도시 조성을 위한 연구회(대표의원 박종혁, 이하 '연구회')'가 기후위기 시대 시민이 안전한 도시조성을 위한 연구회 최종보고회를 열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회는 작년 인천시 부평구 침수 피해로 시민들이 겪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인천연구원 안전도시연구센터와 함께 인천지역 내 침수 방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안 마련을 위해 연구 활동을 이어왔다. 연구회는 또 올 여름 장마철 부평구 침수 위험 지역을 직접 확인하며, 분석 결과상 위험지역과 실제 강우 시 위험성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도 거쳤다. 이날 보고회에서 염재원 박사는 "이번 연구에서 전국 최초로 인천시 8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100m*100m 격자 단위의 침수 위험 지역을 분석한 선제적 연구"라며 "국토교통부도 내년부터 같은 방법으로 재해영향분석을 수행하게 된다"고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박종혁 연구회 대표의원은 "이번 연구회 활동 결과물인 인천시 도시 침수 위험성 분석 및 피해 저감방안 연구를 토대로 침수 피해 저감방안의 도입과 지역 토지 이용,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침수 피해 전략 등을 각 군구와 관계 부서와 함께 진행할 수

호주 원주민 최초 국민인정 투표

10월 14일 호주에서 역사적인 국민투표가 진행됐다. 호주 원주민을 헌법상 최초의 국민으로 인정하는 데 대한 개헌 투표로, 호주인들이 나라 역사를 진지한 마음으로 되짚어볼 수 있는 기회였다. 호주는 1788년 애버리지널 원주민들이 살던 땅을 영국인들이 식민지로 개척하며 탄생했다. 이때 원주민들은 살고 있던 땅을 뺏기며 민족의 반 이상이 학살당했다.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 때 겪었던 방식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원주민은 오랫동안 부당한 대우를 받아왔다. 재산을 소유할 수 없었고 자녀를 강제로 입양 보내야 했으며, 지역 주민 수를 계산할 때 원주민들의 숫자는 포함하지 않았다. 원주민들에게는 투표권이 없었고 ‘원주민 보호구역’이라는 지역을 만들어 보호라는 명목 아래 그들을 격리하고 통제했다. 지금은 환경이 많이 나아졌다고 볼 수 있지만, 원주민을 향한 인종차별은 지속됐다. 이번 투표 결과를 통해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살고 있다고 알려진 호주에서 이러한 결과는 참으로 충격적일 수밖에 없었다. 원주민을 헌법상 최초의 국민으로 인정하는 데 대한 국민투표 결과 대다수가 반대표를 던졌다. 집계에 따르면 전국 반대 투표율은 60.69%, 찬성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