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혁신 행정] "2년 연속 최우수 시도 평가받은" - 대구Y-SMU 포럼

16.png

 

 

 

대구Y-SMU(새마을운동중앙회청년봉사단체)포럼(회장 김효진, 영남대3)이 새마을운동중앙회가 개최한 종합평가에서 시도Y-SMU포럼 부문 최우수상을 받았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대구광역시새마을회(회장 최영수),대구광역시의 지원을 바탕으로 세대 간 연합과 소통의 모델이 된 대구Y-SMU포럼을 소개한다.

 

 

대구Y-SMU포럼은 젊은 청년들의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를 바로 알고 애향심과 애국심을 고취해 차세대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2011년 4월 창립된 단체다. 해외봉사활동 참여로 청년들의 국제적 안목, 리더십을 배양하고 미래의 새마을지도자를 육성하는 목적도 갖고 있다.

권영진 대구광역시장은 대구 3대 정신(4·19 혁명의 시발이 된 2·28 정신, 국호를 수호한 국채보상운동, 근대화를 성공시킨 새마을운동)을 계승한다는 차원에서 새마을정신계승사업비를 지원하였고 최영수 대구광역시새마을회장의 운영비 후원으로 마중물이 되어 현재 8개 구군과 1개 대학에 500여 명이나 되는 회원들이 활동하며 체계적으로 조직이 운영되고 있다. 이들은 농촌 봉사활동, 에너지 절약교실, 건전한 대학문화만들기, 소외계층 지원 활동 등 구·군별로 특색 있는 사업들을 전개하고 있다.

 


대학생들에게 새마을운동을 처음 알리는 건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에 대구광역시새마을회는 초창기에 지도자 자녀를 대상으로 홍보활동을 하다가 2014년 대학교 학생 조직, 구·군별 지도자 자녀들과 연계하며 새마을운동의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영남대학교와 MOU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건전한 대학문화 조성을 위한 ‘꿈의 캠퍼스’ 사업 등을 추진하고 교수와 학생들에게 새마을운동을 홍보했다.

 


대구Y-SMU포럼은 애향심과 애국심에서 봉사가 시작된 다고 보고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먼저 애향심 고취를 위해서 대구 바로 알기 달구벌 투어를 시작했다. 또한 시 새마을회에서 추진하는 국제협력사업에도 참여하여 그 나라에 새마을운동을 전수했다.

 

 

나라사랑 벽화 그리기를 통해 어둡고 쓰레기로 넘쳐났던 골목길을 아름답고 밝게 만들어 주민들의 환영을 받았다. 이 밖에 새마을운동 영상공모전, 태극기 달기 플래시몹, 영농 봉사활동, 건전한 대학문화 만들기 캠페인을 펼쳤다. 이런 사업을 통해 새마을조직의 체질이 개선되고 청년들에게 새마을운동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청년들이 부모세대를 이해하고 공동체 정신을 배워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갖게 만들었다.

대구시새마을회는 앞으로 지자체와 학교를 연계해 새마을운동을 홍보하고 동시에 포럼 회원들만의 활동 거점공간을 마련한다. 포럼 간 상호방문 교류로 단합과 정보교환을 활성화하고, 직장과 연계한 사업 개발, 학생들이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대구Y-SMU는 포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취업 때 가산점을 부여하거나 장학금을 주고 KOICA봉사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새마을부녀회 활동을 하는 어머니의 권유로 포럼 활동을 시작했다는 김효진 회장은 “주변에서 정치적인 편견을 갖고 새마을운동을 바라보는데 봉사활동을 하면서 새마을운동이 얼마나 훌륭한 운동인지 알게 되었다”고말했다. 그는 “봉사를 하면서 공감 능력을 길렀고, 사람들을 대하고 위기에 대처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고밝혔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