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들은 스스로 잘할 수 있습니다
서울 금천구 교육지원과
그동안 교육이 아이들에게 무언가를 주입하는 방식이었다면, 이제는 아이들의 자율성을 믿는 교육도 있다.
아이들만 운영하는 카페
서울특별시 금천구의 다양한 프로그램 중 가장 먼저 눈길이 먼저 가는 곳은 카페다. 청소년휴카페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이곳은 청소년 운영단인 ‘꿈꾸는나무’(이하 꿈나)가 직접 운 영을 맡고 있다. 청소년에게 다양한 직업 경험을 통해 진지한 고민을 이끌어내겠다는 고민 끝에 탄생한 이 프로그램은 단 순한 판매와 자금관리를 넘어 메뉴개발부터 축제, 프로그램 기획 등 모든 것을 청소년들이 맡아서 하는 시스템이다.
2013년 8월에 개관해 현재까지 총 200여 명이 넘는 청소년들 이 꿈나 운영단을 거쳐 갔다. 많은 학생들이 운영하는 만큼 이 에 못지않은 미담이 쌓이기도 했다. 최근 대표메뉴인 오레오 셰이크와 치즈스틱을 단돈 천 원에 판매하며, 재료값을 제외 하고 얻은 수익으로 장학금 100만 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지 금까지 지역 장학재단으로 기부한 장학금만 총 660만 원이다. 물론 높은 액수라고는 할 수 없지만, 청소년들이 직접 카페를 운영하며 봉사와 열정으로 모은 금액이기에 더욱 값지다.
꿈나 운영단은 카페뿐만 아니라 노래와 춤 연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인 씨앗꿈터와 힐링 휴식 공간인 키움마루, 스터디와 동 아리 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꿈이룸, 꿈오름 등 청소년만을 위 한 개방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동아리 활동으로는 댄스, 보컬, 심리학스터디 등 취미와 직업에 관련된 여러 가지를 찾 아볼 수 있다. 청소년들이 비슷한 꿈을 교류하거나 고민을 상 담할 수 있는 소통의 장소가 마련되어 있다.
2013년 7월 금천구는 기존 동주민센터로 이용하던 건물을 리 모델링해 진로직업체험센터로 새롭게 선보이는 한편, 진로교 육팀도 새롭게 신설했다. 진로직업체험센터는 청소년들에게 편안히 쉴 공간을 제공하고 진로교육팀은 청소년들이 직업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만들자는 취 지에서 꿈나 운영단을 시작했다.
꿈나 운영단 모집 대상은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생까지 다. 신청 방법은 간단하다. 금천구청 홈페이지 혹은 꿈꾸는 나무 건물 내에 비치된 지원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학생들끼리 알맞은 교류의 장을 위한 자리인 만큼 면접도 진행한다.
다양한 체험이 다양한 진로를 고민하게 만든다
금천구 진로교육팀은 청소년들의 4차 산업 관련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진로체험을 위해 G-밸리 4차산업 진로체험 페스티벌을 개최했다. 함께 뜻을 모은 40여 개의 G-밸리 기 업과 기관들이 모두 교육기부로 참가한 축제였다. 4차 산업에 관련된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드론체험과 G-밸리 홍 보관, 미디어아트 전시 등을 운영했다.
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와 전문 드론 드레이서가 드론을 시연 했다. 또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금천드론경진대회가 열렸다. 청소년 100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경기장 내에 설치된 장애물을 피해 제한 시간 내에 가장 빠르게 완주하는 드론이 우승하는 방식이다. 참가 학생들은 그동안 경험해보지 못했 던 드론을 배우기 위해 한 명도 빠지지 않고 2주간 캠프에 참여했다.
금천구 진로직업체험센터의 진로체험에 대한 프로그램 고민 은 아직도 계속 진행 중이다. ‘진로콘서트’, ‘복지플래너’, ‘드 림 진로 박람회’, ‘수상한 꿈DAY’, ‘진로·진학 상담’, 꿈나 운 영단이 기획한 ‘후룩잡잡 진로카페’ 등을 직접 운영하고 있다. 또한 자유학기제 및 진로체험 지원을 위해 일선에서 활동 중 인 진로교사와 협의회를 구성했다. 평소 SNS를 통해 소통을 이어나가고 부족할 경우 정기적인 만남을 가졌다. 현장을 통 해 학생들이 어떤 희망 진로를 고민하는지 알아보며 이를 통 해 새로운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발굴하기 위해서다.
금천구 박오임 교육지원과장은 “어른이 지시하지 않아도 아 이들은 스스로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 조했다. 또한 “앞으로 청소년들의 진로체험을 위해 각 부서와 다양한 기술을 가진 기업과 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며, 청소년 들이 자신의 진로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 다”고 밝혔다.
※ 문의 사항은 서울특별시 금천구청 교육지원과(02-2627-2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