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보면 후회할 영상 ‘워런 버핏 되기 (Becoming Warren Buffett)’

 

좋은 다큐, 영화, 영상 하나가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 
세계 2위의 갑부 워런 버핏의 일상을 엿볼 수 있는 미국 영화 채널 HBO의 영상을 소개한다.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은 아침마다 햄버거를 먹는다. 아침마다 아내에게 3달러(약 3400 원)를 받아 출근하고 직접 차를 몬다. 맥도날드 드라이브 스루 매장에서 햄버거를 주문하는데 늘 2.61달러(약 3016원), 2.95달러(약 3409원), 3.17달러(약 3663원)짜리 메뉴 중 하나를 고른다. 


돈을 많이 번 날에는 베이컨과 치즈 비스킷이 들어간 3.17달러 햄버거를 사먹고 생각보다 돈을 벌지 못한 날에는 소시지만 들어간 2.61달러 햄버거를 먹는다. 


패스트푸드를 누구보다 좋아하는 워런 버핏은 똑같은 음식 먹기를 좋아한다. 매일 낮에 콜라 세 잔, 저녁에도 콜라 두 잔을 마실 정도다. 어린 아이와 같은 식성을 가진 버핏은 아무리 높은 고위직 인사가 찾아와도 꼭 맥도널드에서 식사를 한다. 평소 버핏은 ‘절약’과 ‘검소’를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워린 버핏과의 점심 식사는 1년에 한 번 경매에 오르는데 지난해 40억 원 에 낙찰됐다. 뉴욕의 스테이크 전문 레스토랑에서 3시간 정도 점심 식사를 하는 값이란다. 수익금 전액은 도시빈민구제 단체 에 기부된다. 누적된 기부액만 261억 원이나 된다고 한다. 

 

다큐에 출연한 버핏의 딸 수지 는 버핏이 돈을 중요하게 생각 하지 않고 자신의 일을 사랑 해서 우연히 돈을 번 것이라고 언급했다. 우리도 자신의 일을 사랑하면 버핏처럼 돈을 잘 벌 수 있을까? 어쨌든 워런 버 
핏은 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산(117억 달러, 약 13조 2700억원)을 불렸고, 세계 2위 부자 (608억 달러, 약 70조 원)로 이름을 올렸다. 

 

이 영상을 본 네티즌들은 “우리나라는 김영란법 트집 잡고 밥 값 못 써서 안달 났는데”, “미국은 억만장자든 일용직 근로자든 모두 맥도날드 햄버거를 먹는다는 말이 맞긴 하네요”, “기괴한 현자”라는 표현까지 쓰기도 했다. 
반면 “저런 사람이 적절한 소비를 해줘야 경제가 돌아가는데, 이건희 회장이 매일 라면 먹는 꼴 이네”, “이렇게 짜게 살면 경제가 안 돌아간다”, “있는 놈이 더해”라는 비판적인 반응도 있었다. 

 

워런 버핏의 18가지 부자 되는 비결 
1. 작은 돈을 아껴야 큰돈을 번다 
2. 조기 경제교육이 평생의 부를 결정한다 
3. 우리 집은 가난하다고 변명하지 마라 
4. 책과 신문 속에 부가 있다 
5. 본받고 싶은 부자 모델을 찾아라 
6. 부는 알리는 것이 아니라 감추는 것이다 
7. 시간을 아끼는 사람이 진짜 부자다 
8. 정직하게 번 돈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다 
9. 고기를 잡으려면 물에 들어가야 한다 
10. 많이 버는 것보다 잘 쓰는 것이 더 중요하다 
11. 남에게 관대하고 자기에게 엄격하라 
12. 솔직함보다 부유한 유산도 없다 
13. 가슴에 정열을 품으면 부는 따라온다 
14. 부자는 끈기로 무장한 사람들이다 
15. 인생 최고의 투자는 친구이다 
16. 자신의 일을 즐기면 부는 따라온다 
17. 남들과 다른 자신만의 원칙을 세워라 
18. 젊다는 것이 가장 큰 자산이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