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고성군과 고성교육청은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 시대에 교육자치협력 모델을 구현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연계와 협력’이라는 큰 과제를 놓고 긴밀하게 공조체계를 마련해 고성군에 최적화된 교육자치 토대를 닦기 위해 땀방울을 흘려온 것으로 전해졌다.
고성군 교육청소년과 윤정희 주무관은 “학교와 지역 사회가 상생하는 고성행복교육지구 운영과 활성화, 청소년 센터 ‘온’,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경남 지역 군 단위 최초이자 유일한 진로교육지원센터, 올 6월에 개관한 거점형 미래교육 허브기관 ‘고성미래교육지원센터삼락’ 등 지역 학생과 학부모, 지역 주민의 참여도가 매우 높다”라며 “고성군과 교육지원청이 지역맞춤형 교육자치 협력 모델을 구축해 교육과 행정이 동반자로서 동행하는 점이 가장 자랑하고 싶다”고 밝혔다.
고성군은 교육청소년과를 신설해 안심보육환경 조성, 청소년 사업 지원, 취약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통합서비스 지원 등 교육청과 체계적인 상호협력체계를 공고히 했고,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중간조직 (재)고성교육재단을 설립해 지원해오고 있다.

인구 감소 특히 취학인구 감소 현상을 감소하기 위해 13~18세 청소년에게 매달 5~7만 원을 지원하는 일종에 청소년 수당 ‘청소년 꿈키움바우처 사업’과 청소년을 위한 교육과 복지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청소년센터 ‘온’, 도교육청 및 학교와 협업한 작은 학교 살리기 프로젝트 등 지역에 맞는 특색 사업을 발굴해 시행해오고 있다.
특히 고성군 청소년 꿈키움 바우처 지원 사업을 모델로 충남 청양군과 충북 옥천군이 조례를 제정했고, 대전 대덕구, 전북 완주군, 창원시와 함양군, 울산 울주군 등 여러 지자체에서 벤치마킹해갔다.

여기에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고성행복교육지구사업, 지역 사회 미래교육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미래교육지원센터운영, 지역 중심 돌봄 체계를 마련한 ‘다함께 돌봄센터’, 경남직업교육혁신지구 사업도 올해 2월 선정돼 추진 중이다.
고성군의 한 초등생은 “작은 학교이지만, 학교에서 마을과 연계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어 재미있고 소가야 축제 준비에 참여하면서 마을에 대한 자긍심이 생겼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유정옥 교육청소년과장은 “안정적으로 운영을 경험하면서 쌓인 노하우를 통해 다양한 연계 사업을 지속해서 발굴‧운영해 민‧관‧학 협업 범위를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고, 고성군의 교육자치와 지방자치가 전국적인 표준 모델로 자리매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성군과 교육청 간의 협업 사례는 행정과 교육이 동반성장 한다는 공동 목표를 향해 함께 달려왔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처럼 지역 스스로 성장하고 힘을 키우는 공동체를 위해 노력하는 고성군 사례가 전국적으로 퍼져나가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