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호주 발명품 바다 쓰레기통 ‘Seabin’

바다에 버려지는 쓰레기양이 매우 많은데도 처리 시설이 부족해 바다가 오염된다는 뉴스를 자주 목격할 수 있다. 바다와 수로에 버려지는 쓰레기의 양은 실제로 어마어마하다.


2016년 초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에는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양이 물고기양을 능가할 것이라고 한다. 해양폐기물에 의한 피해는 어업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바다 생물을 위협하며 생물 서식지를 파괴, 관광자원의 질을 떨어뜨리고 선박 사고의 10%는 해양폐기물 때문이라는 통계 결과도 나오고 있다.

 

해양폐기물을 수거하고 처리하는 데도 많은 비용이 든다. 하지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희소식 있다. 바다 쓰레기를 제거하고 오염을 예방, 모니터 그리고 청소하는 ‘Seabin Project’이다.


바다에 떠다니는 쓰레기를 자동으로 수거하는 호주의 발명품, 일명 바다 쓰레기통 ‘Seabin’은 호주 청정 기술 스 타트업 ‘Seabin Project’로, 2명의 호주인 앤드루 털톤과 피트 세그린스키가 설립했으며, 호주 해양 기술 개발 회사 Shark Mitigation Systems와 Smart Marine Systems의 초기 투자 지원을 받아 성장했다.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물속에서 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전한 앤드루는 호주의 보트 제작자이자 선원이었다. 그는 전 세계의 수많은 항해 여행과 해양폐기물로 오염되는 바다를 목격한 후 Seabin 개념을 고안하게 됐는데, 처음 Seabin이라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 그의 친구이자 산업 디자이너인 피트에게 물었다고 한다. 


“땅에 쓰레기통이 있다면 바다에도 쓰레기통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이 간단한 질문은 바다를 정화하고 해양 생태계의 건강을 혁신할 수 있는 혁신적인 최초의 발명품 Seabin 개 발의 문을 열었다. 


2015년 말, 그들은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인디고고(Indiegogo) 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캠페인은 2개월 만에 미화 26만 달러(한화 약 3억 850만 원) 이상을 모금하며 전 세계 바다 애호가들의 지지를 받았다.

 

피트는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했을 때 호주는 물론 미국, 프랑스 등 전 세계가 요동쳤다며 Seabin을 주문하려는 사람들로부터 하루에 1,300통의 이메일을 받았다고 전했다.


정박지, 내륙 수로, 주거용 호수, 항구 및 요트 클럽 등을 위 해 설계된 Seabin은 수영장의 스키머 박스와 유사한 시스템이지만, 조수와 파도를 다루는 바다이기 때문에 수영장보다는 다소 복잡하다. 캐치백이 달린 양동이 모양의 컨테이너가 있고, 2개의 다른 펌프가 물을 양동이로 빨아들이며, 캐치백이 쓰레기와 기름을 모으고 깨끗한 물은 다시 바다로 돌아간다.

 

 

해양 생물체를 위험하게 하는 부유 파편, 대형 및 미세 플라스틱을 걸러내어 수거하며 추가적인 필터가 있다면 미세 섬유까지 차단할 수 있다. Seabin은 하루에 약 3.9㎏, 연간 1.4 톤의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설치된 Seabin의 수는 860개이다. 매일 약 3,612.8㎏의 양의 쓰레기를 수거한다(2021년 9월 기준). 

 

‘Seabin Project’는 전 세계 정박지에 Seabin을 설치하는 것이 목표라 고 한다. 또한 그들은 해양 환경에서 플라스틱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수거한 플라스틱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에 대한 관심사를 연구하고 있다.

 

그들은 “오늘날 우리 의 청정 해양 기술은 해양으로 유입 되는 오염에 대한 전 세계적인 투쟁 에서 작지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믿는다며 최종 해결책은 인식, 교육, 예방, 정책 및 행동 변화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배너

발행인의 글


다시 깨어나는 천년의 관아, 강릉대도호부! 열한번째 강릉문화재야행 열려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강릉문화재야행이 강릉대도호부관아에서 7월 8일부터 10일까지 2박3일 동안 열린다. '다시 깨어나는 천년의 관아, 강릉대도호부'를 슬로건으로 역사문화시설을 개방하고 전시, 체험, 공연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8가지 테마와 함께하는 강릉문화재야행은 야사(夜史):역사를 만나다 / 야설(夜說):전통과 현대의 공연을 만나다 / 야화(夜話):전시와 체험을 만나다 / 야시(夜市):밤의 문화시장을 만나다 / 야로(夜路):거리의 공연을 만나다 / 야경(夜景):밤의 경치를 바라보다 / 야식(夜食):밤의 먹거리를 맛보다 / 야숙(夜宿):밤의 힐링을 만나다으로 구성된다. 강릉문화재야행을 시작한 취지문을 작성한 이홍섭 시인은 "살아있는 문화재를 통해 월광에 물근 신화를 깨운다"면서 "전통문화 보존과 현대화를 선도해 온 강릉시와 강릉문화원은 시대적 흐름과 소명에 발맞추어 2016년부터 매년 '문화재 야행 사업'을 펼쳐왔다"고 밝혔다. 특히 강릉문화재야행은 문화재청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해를 거듭할수록 전국적인 관심을 끌며 대한민국 대표 문화축제로 거듭나고 있다. 여러 관심과 평가에 힘입어 2017년, 2019년, 2021년 문화재 활용 최우수사업에 선정되어 문화

세대 간 장벽 허문 디지털 기술 교육

2023년 4월 현재, 우리는 첨단 기술(High Technology) 세계에 살고 있다. 최근 신세대 사이에서 크게 관심을 받는 챗GPT 부터 가상 세계 메타버스까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만 하던 세상이 현실에서 구현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MZ세대 이해하기’처럼 현실에 반영된 밈이나 숏폼 콘텐츠 등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해가 갈수록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IT 기술의 발전은 세대 차이를 크게 벌려놓았다. MZ세대를 제외한 세대는 첨단 기술 시대에 적응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들어 식당에서도 태블릿 PC나 스마트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는 일이 일상이 되다 보니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은 식사하기조차 쉽지 않다. 이런 고령의 노인들에게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어 세대 차를 극복한 훈훈한 사례가 소개돼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고 있다. 애슈데일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요양원을 찾아 스마트 기기 사용을 어려워하는 어르신들에게 최신 기술을 알려주고, 휴대전화처럼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기 사용법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르신들에게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듯, 학생들은 어르신들에게 과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