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지방산림청(청장 최수천)은 5월 29∼30일 동해현진관광호텔에서 임용 3년 이하 신규공무원 50여명을 대상으로 MZ세대 맞춤 ‘새싹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연수회는 신규직원간 원활한 소통을 통해 조직적응을 돕고, 업무 스트레스 해소 및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지방청장이 알려주는 공직생활 노하우를 시작으로 △ 친밀감 및 협동심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 보고서 및 보도자료 작성법 △ 한컴오피스 활용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참여한 신규공무원은 “지방청장님의 신규공무원 시절 이야기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며 “이번 자리를 통해 공직생활에 필요한 기초 소양을 많이 배울 수 있었으며, 산림청 공무원으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말했다. 동부지방산림청은 이번 연수회를 비롯하여 신규공무원들의 업무 역량 강화 및 공직사회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수천 동부지방산림청장은 “최근 공직사회에 저연차 공무원의 퇴사가 늘어나고 있다”며, “동부지방산림청에 입직하는 신규공무원들이 조직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방정부티비유=한승구 기자]
IMF 이후 정년 보장과 높은 연금으로 한때 공무원은 선망과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최근 9급 공무원 공채 경쟁률을 살펴보면, 2021년 35.0대 1에서 지난 2024년 1월 접수한 9급 공무원 공채 시험 원서접수 결과 21.8대 1이라는 경쟁률로, 1992년 19.3대 1 이후 3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최근 공직 사회에서 ‘MZ세대’의 퇴사율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기성세대와 달리 MZ세대는 단순히 안정적인 직업 이상의 가치와 개인적인 만족도를 추구하며, 공무원 조직 문화와 보상 체계에 대한 불만이 높다. 일반 기업 대비 낮은 급여 수준과 아직 남아있는 수직적인 위계질서, 경직된 조직 문화 등이 MZ세대의 퇴사를 부추기고 있다. 또한, 과도한 업무와 강도 높은 악성 민원도 저연차 공무원의 퇴사 원인이 된다. 젊은 공무원들의 이탈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 아닌 공직 사회 전체의 경쟁력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정부는 공무원 보수는 물론 근무시간, 조직문화, 채용 방식 등 전반적인 인사 시스템 개선 작업에 들어갔다. 아울러, 국가공무원법 개정도 추진하여 구체적 변화를 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
속초시가 소속 공무직에 대한 통일된 대외직명으로 ‘공무관’을 도입한다. 6급 이하의 실무공무원에 대해서는 ‘주무관’이라는 대외직명으로 통일하여 호칭하고 있었으나, 소속 공무직에 대한 통일된 호칭이 없어 부서별로 다양하게 호칭해 왔다. 이에 따라 공무직의 소속 기관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호칭 통일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었다. 이에 시에서는, 속초시 공무직 대외직명제 운영 규정을 제정하여 공식 직위가 없는 공무직에 대해 ‘공무관’이라는 직명을 부여함으로써 예우와 함께 직장생활에 대한 소속감과 책임감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이병선 속초시장은 “공무관으로 호칭함으로써 소속감과 자긍심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대 주민 서비스 향상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올해 하반기 콤팩트시티, 접경지역 지정, 문화도시 선정 등 굵직한 성과를 이루었듯, 공무관을 포함해 시청 전 직원이 한마음으로 노력하여 내년에도 좋은 소식만 풍성하게 전해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