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고독사를 예방하는 '스마트플러그'를 2,000가구에 추가 확대키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서울시가 밝힌 현재 설치, 운영 중인 스마트플러그는 총 2,709가구로 계획대로 2,000가구에 추가 설치되면 총 4,700가구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플러그는 TV와 전자레인지처럼 자주 사용하는 가전 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해 사용하는 장치다.

IoT 기술이 전력량이나 조도를 감지, 24~50시간 동안 변화가 없으면 동주민센터 복지플래너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하고, 복지플래너가 전화를 하거나 방문해 안부를 확인하는 등 조치를 하게 된다.
자칫 고독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상황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가 1년 4개월 동안 스마트플러그를 모니터링한 결과 4만 6,974건의 신호가 전송됐고, 이 가운데 실제로 위험 상황으로 판단돼 조치된 건은 154건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112나 119에 긴급조치, 돌봄 SOS 서비스 연계, 긴급복지 지원 등 맞춤형 조치를 취했고 대상자별 사후 관리도 지속하고 있다.
광진구에 거주하는 김 모씨(58세, 남)의 경우도 위험 신호가 감지돼 발견됐을 당시 만취 상태였고, 영양 상태가 불균형이었다. 주거 환경도 열악했다. 김 씨는 알코올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음주습관을 개선했고 밑반찬 지원을 받아 균형 잡힌 식사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스마트플러그를 올해 2,000가구로 확대하기 위해 9일까지 25개 자치구 대상으로 수요를 파악하고 설치 가구를 선정해 5월부터 지원한다고 밝혔다.
설치 대상은 작년 말에 실시한 중장년 1인 가구 실태 조사에서 발굴한 고독사 위험가구를 우선 선발하며 자치구가 자체적으로 파악한 가구에도 설치 가능하다.
스마트플러그는 고독사 위험 1인 가구 중 설치에 동의한 사람에 한해 보급되며 동주민센터 직원이 직접 방문해 사용 방법을 안내해주고 설치한다.
사회적으로 고립된 1인 가구는 보통 주변에서 위기 징후를 발견하기 어렵고 주변에서 위기 징후를 발견하더라도 사생활 침해 등을 우려해 단순 의심만으로 신고하기를 꺼린다는 점에 주목한 스마트플러그는 고독사 예방과 함께 필요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더욱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