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NH농협은행 은행권 최초 ‘금융봇(bot)’ 서비스 출시!

41.png

 

 

 

2017년에는 앱의 시대가 지고 봇의 시대가 온다고 한다. 이런 트렌드에 발 빠르게 움직인 NH농협은행은 은행권최초로 카카오톡 기반의 채팅 자동응대 서비스인 ‘NH농협은행 금융봇’을 운영한다. 이 금융봇은 상품안내와 채팅 상담은 물론 스마트금융센터 예약까지 척척 해낸다.


취재|양태석 기자

 

NH농협은행(은행장 이경섭)이 1:1 카카오톡 채팅을 통해 금융업무 상담을 해 주는 ‘금융봇(bot)’ 서비스를은 행권 최초로 출시했다.챗봇은 메신저창에서 자동으로 사용자들의 질문에 대답해주는 것으로 글로벌 금융권에서 주목받는 기술로 부상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라는 미국 대형 은행이 마스터카드, 핀테크 스타트업들과제휴를 맺고 ‘에리카’라는 챗봇 서비스 초기 버전을 내놓았다.

 

이후 에리카를 자동화된 금융 비서 서비스로 키워나갈 예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출시된 ‘NH농협은행 금융봇(bot)’ 서비스는 카카오톡 기반의 채팅 자동상담 서비스다. 상품안내, 자주 묻는 질문(FAQ), 이벤트안내, 이용시간 안내, 올원뱅크 바로가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향후 자체 챗봇 서비스 개발을 통해 대화형 금융업무 및 자연어 질의응답 서비스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자주 묻는 질문 서비스는 채팅창에서 키워드 및 질문 분석을 통해 자동응대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으며향후 빅데이터 수집, 분석을 통해 개인화 상품추천, 맞춤형 정보 제공 등 온디맨드 금융서비스로 고도화할 예정이다.

참고로 온디맨드(On Demand)는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모바일을 통해 즉각적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카카오톡에서 ‘NH농협은행’ 검색 후 친구추가를 하고, 1:1채팅을 선택하면 누구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금융상품마켓 내 고객센터에서 ‘금융봇 상담’ 메뉴를 선택해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NH농협은행 금융봇 출시를 도운 인공지능 챗봇 전문업체 머니브레인은 “고도화된 자연어 처리 모듈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인간의 언어로 질문이나 명령을 내리면 맥락을 파악해 대화가 가능하다”며 “금융봇을 포함해머니브레인이 구축한 챗봇은 사람과 단순히 대화를 해주는 것 이상으로 사람이 해야 하는 업무처리가 가능한태스크 처리 전문 챗봇”이라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속초 배경 영화 ‘속초에서의 겨울’ 전주국제영화제 전석 매진

속초시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 ‘속초에서의 겨울’이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국내 팬들에게 첫선을 보인 가운데, 예매 오픈 직후 2일, 3일, 7일 3회의 모든 회차가 전석 매진되며 뜨거운 관심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속초에서의 겨울은 스위스 작가 엘리자 수아 뒤사팽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속초의 작은 펜션에서 일하는 청년 수하가 프랑스 작가 얀 케렁을 만나며 겪는 내면적 갈등과 정체성 탐구를 담았다. 차분한 겨울의 속초 풍경을 배경으로 섬세한 감성과 인물의 심리를 미장센으로 녹여내며 해외의 다수 매체로부터 ‘2025년 주목해야 할 프랑스 영화’, ‘추운 속초 겨울을 배경으로 고립된 두 사람의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감탄이 나올 만큼 신비롭다’ 등의 호평을 받았다. 영화의 원작 소설 ‘속초에서의 겨울’은 출판 이후 작가가 2016년 속초에서 북콘서트를 개최해 속초시민에게는 익숙한 작품으로 기억되고 있다. 영화화가 결정된 이후 속초시에서는 영화제작 초기부터 다양한 행정적 지원을 이어왔다. 영화제 기간동안 속초시 관계자들은 직접 전주 현장을 방문해 제작사, 배급사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영화 흥행에 대한 축하와 함께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