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영 서울시 정무부시장 “공무원은 미래를 예측하고, 시민 이야기에 귀 기울여야 합니다”

 

김우영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만났다. 그는 은평구청장, 청와대 제도개혁비서관, 자치발전비서관을 역임하고 2020년 7월부터 서울시 정무부시장으로 일하고 있다.

 

이영애_ 안녕하세요? 창간 축하 메시지와 새해 인사를 전해주세요.

김우영_ 창간을 축하드립니다. 2021년은 모든 게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다함께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영상)

 

이영애_ 시장님이 안 계시는 서울시에서 정무부시장님의 역할과 업무를 말씀해 주세요.

김우영_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서울시 문제를 시민들과 고민하고, 중앙부처, 청와대, 국회, 시의회와 대화하고 타협·조정 해나가는 중간다리 역할을 합니다. 매일 아침 집단토의 방식으로 의사결정하면서 위기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영상)

 

이영애_ 2021년 서울시 상반기 핵심 정책도 궁금합니다.

김우영_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코로나19 방역입니다. 어려운 시민들을 위해 1조 원 수준의 중소기업 융자지원 같은 금융 대책도 세워놓고 있습니다.… (영상)

 

이영애_ 그동안 공직 생활을 해오시면서 언제 가장 큰 성취감을 느끼시나요?

김우영_ 은빛주택, 주차단속 예보시스템, 코로나19 진단시약 정책처럼 도시의 다양한 문제를 집단지성의 방식으로 해결 대안을 만들었을 때 희열을 느낍니다.… (영상)

 

이영애_ 부시장님께서는 위기 상황에서 무엇을 먼저 고민하십니까?

김우영_ 누가 고통 받는가를 먼저 생각합니다. 현장에 가서 사태를 빠르게 파악하고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즉각적으로 그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이영애_ 공직생활에서 고민 해결의 기준이 있나요?

김우영_ 공무원은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자신이 모른다고 가정하고, 전문가와 시민들에게 물어봐야 해요. 지역적으로 생각하고, 세계적으로 행동해야 합니다.

 

이영애_ 행정이 시민 속으로 뿌리 내리도록 공유와 협력은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김우영_ 언택트 시대, 시민들과 온라인과 데이터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이영애_ 지금도 활용되고 있는 ‘내가 만든 정책’을 소개해 주세요.

김우영_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자치구로서는 은평이 가장 처음 시행했습니다. 구청 협치조정관 제도, 주민참여위원회도 제가 만들었습니다.… (영상)

 

이영애_ ‘일 잘하는 공무원’의 조건은 무엇인가요?

김우영_ 일 잘하는 공무원은 예비하는 자입니다. 세상 돌아가는 상황에 귀를 열고, 주민의 이야기를 정보나 감각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합니다. 자꾸 어떤 소리가 들린다면 공통의 어떤 문제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나름대로 공부해서 대비를 갖추는 태도, 저는 그게 전부라고 봐요.… (영상)

 

이영애_ 요즘 공직자들을 접하면서 다른 점과 바뀐 점을 말씀해 주세요.

김우영_ 디지털 네이티브인 20·30대 공무원들은 문화적으로 더 급진적이에요. 예전에는 팀이 중요했다면, 요즘은 개인의 이야기를 합니다. ‘문화적 차이는 호기심으로 바라보자’라고 생각하면 아무 문제없습니다. 또한 구청장할 때는 공무원들이 다소 위축되어 있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청와대는 잘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상상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구조가 있습니다. 서울시는 토론 문화가 정착되어 있어요. 생각이 다르면 논쟁이나 토론을 하죠. … (영상)

 

이영애_ 새내기 공무원들에게 꼭 알려주고 싶은 부시장님의 비법 3가지를 말씀해주세요.

김우영_ 걸으면서 생각할 때 능률이 훨씬 좋아요. 습관적으로 걸으면서 생각하면 좋겠어요. 또 청렴의 의무가 있기 때문에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의외로 어른들에게 배울 게 많아요. … (영상)

 

이영애_ 2021년은 희망이 있고, 한 단계 도약하는 해이길 바라는 의미로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우영_ 소소한 삶이 우리 삶의 전부였음을 느끼는 요즘입니다. 평화로운 일상을 보내는 시간이 돌아올 것이라 믿고 인내하면서 잘 버티면 좋겠습니다.

 

김우영 서울시 정무부시장 약력

카이스트(KAIST) 경영학 석사

민선 5·6기 은평구청장

청와대 제도개혁비서관, 자치발전비서관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 APEC 성공 기원”… 김창준 등 전 미국 연방의원 7명 방문

경주시는 김창준 한미연구원과 미국 전직 연방의원협회(FMC) 소속 전직 의원들이 지난 18일 경주를 찾아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방한은 김 연구원과 FMC의 네 번째 경주 방문으로, 매년 가장 한국적인 도시로 꼽히는 경주를 찾아 민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창준 한미연구원은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김창준 전 의원(공화당·캘리포니아)이 이사장으로 있는 단체다. FMC는 전직 미국 연방의원들의 모임으로, 세계 각국의 정부·기업·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김 전 의원 역시 FMC 소속이다. 이번 방문단에는 김 전 의원을 비롯해 △존 사베인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메릴랜드) △비키 하츨러 전 하원의원(공화당·미주리) △브랜다 로렌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미시간) △존 캣코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앤 마리 버클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콴자 홀 전 하원의원(민주당·조지아) 등 전직 의원 7명과 배우자 등 총 12명이 포함됐다. 이들은 경주시의 환영 만찬에 참석한 뒤 월정교와 동궁과 월지 등 경주의 주요 야경 명소를 둘러보며 신라 천년 고도의 역사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