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분석

“떳떳하게 포부 밝히고 시작하라!”

tvU 데이터랩으로 본 대선 후보 (1)

[대선 후보 관련 뉴스의 말미에는 매일 수십만 건의 댓글이 붙는다. 댓글 대부분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의 불만을 드러내거나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후보나 정당을 공격하기도 하지만 긍정적인 의견 또한 적지 않다.

그렇다면 일반인들이 대선후보에 대해 긍정, 혹은 부정 댓글을 다는 이유가 무엇일까? 뉴스메이커인 대선후보에 대한 호불호일까? 아니면 익명성과 저급성을 이용해 자신이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일까? 전국 언론사의 댓글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있는 인터넷 신문, tvU(The voice of US)의 ‘데이터 랩’에 드러난 댓글 심리학을 통해 4명의 대선후보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해 본다.]

 

hyun*** 떳떳하게 국민 앞에서 자기 입으로 자기 목소리로 포부 밝히고 정치 시작하세요!

―윤석열 전 총장에게 붙은 댓글 중에서

 

지난 6월 8일 03시 02분 동아일보에 「윤석열, 국민의 힘 의원 30여 명 모임 가려다 취소」했다는 제목의 기사가 떴다. 이 기사에 따르면 윤 전 총장은 최근 본인의 뜻이 야당 의원들에 의해 다르게 해석돼 알려지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국민의 힘 정진석 의원과 김무성 전 의원을 주축으로 꾸려진 공부 모임인「열린 토론, 미래」의 조찬 모임에 참석을 보류했다고 했다. 이를 두고 당 관계자는 “윤 전 총장이 당분간 입당을 보류하며 국민의힘과 거리를 두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왔다고 전했다. 윤 전 총장은 전, 현직 의원 30명이 참여하는 이 모임에 참석해 이들을 만날 예정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윤 전 총장이 조찬 모임에 참석하려 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의힘 내에선 원내에도‘윤석열계’가 태동해 꿈틀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고 했다. 이 기사에 붙은 댓글은 1,200여 개, 이 가운데 기사가 마음에 든다는, 그러니까 윤석열 전 총장을 힐난하는 내용이 999개, 그 반대의 댓글은 173건에 그쳤다. 기사 말미에 붙은 댓글 첫 장은 아래와 같았다.

 

“이렇게나 조심하는 게 보이는데 뭘 하갰다고, 떳떳하지 못하니, 넌 그룻이 아니야,”

“간이나 본다고 감히 윤가가 대통령이 될 수 있을 것 같더냐? 썩열아 여가까지다!”

“앞에서 떳떳하게 국민 앞에서 자기 입으로 자기 목소리로 포부 밝히고 정치 시작하세요,”

“윤석열이 뭐라고 저러나, 안하무인에 공감 능력도 없고 청문회 보니 검사가 아니라 깡패더만...”

“더불어 좌빨들과 선동매체들이 유승민이 사육한 요괴 준석이의 혀를 빌려 윤석열을 잡고 국민의 힘을 해체한다.”

“간철수 저리 가라네, 도대체 정치선언도 하기 전에 뒷방 정치질이 웬말인가. 도대체 뭘 하겠다는 거야”

 

 

이른바 윤 전 총장의 노쇼(no show)에 대한 기사에 붙은 비난성 댓글은 첫 장에서부터 비슷한 내용으로 이어진다. 왜 그럴까? 야권 대선 후보 여론조사 1위를 달리는 사람에게 왜 이렇게 비아냥대는 댓글이 달리는 것일까? 댓글을 다는 사람들의 정치적 편향일까? 그럴 수도 있지만, 상황은 그리 간단하지 않은 듯 보인다. 윤 전 총장이 국민 앞에-그러니까 기자들 앞에-당당하게 모습을 드러낸 것은 지금까지 딱 한 번, 지난 4월 7일 재보선 선거 당시 그의 아버님을 모시고 투표장에 나왔을 때였다. 그는 정치적인 발언을 자제했지만, 신성한 투표 행위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메시지를 전 매스컴을 통해 국민에게 알렸다. 그러나 그 후 거의 2달여 동안, 윤 전 총장은 대선 여론조사에서 1~2위를 달리면서도 국민 앞에 자신을 공개하는 행보를 하지 않았다. 최근 들어 그가 국민의힘 (그의 초등학교 동창으로 알려진) 권성동 의원과 5선인 정진석 의원, 경제학 박사 윤희숙 의원 등을 차례로 만났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평당원으로 입당한다는 기사까지 나와 입당 시기까지 거론됐었으니, 국민의힘 의원들의 조찬 모임에 나가지 않는다는 기사는 윤 전 총장이 이랬다저랬다 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떠오르게 하기에 충분했다. 더구나 윤 전 총장의 활동은 거의 측근을 통해, 혹은 자신의 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알려지는 것뿐이었다. 여기에 윤 전 총장은 측근을 통해 국민의힘 입당은 결정된 바 없다는 발표까지 하게 함으로써 일반인들에게 “어라? 윤 전 총장이 자신이 없는 거 아냐?”라는 생각이 들게 하였으니, 비방 댓글을 줄줄이 달리게 한 빌미를 준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몰랐다.

 

필자로선 확인할 길이 없지만, 만약 사전에 참석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취소했다고 한다면, 왜 그런 일이 벌어졌을까? 왜 야권 대선 후보 1위를 달리는 사람이 갑자기 브레이크 밟고 후진하는 걸까? (순전히 필자 생각이지만) 혹시 이런 대화가 오고 가지 않았을까?

 

“의원들이 공부하는 조찬 모임인데 어떻습니까? 오셔서 고견을 들려주시고, 의원들도 만나시죠.”

 

“그래요? (어차피 입당할 건데) 나쁠 것도 없지요.”라고 약속했다가 상황이 바뀐 건 아닐까. (이를테면 국민의 힘 당 대표 경선과 맞물려) 가까운 참모로부터 참석하지 않는 게 좋을 듯하다는 조언을 받아들이고 참석 약속을 번복했을 수 있다. 혹시 윤 전 총장이 정치의 영역을 너무 쉽게 생각하는 건 아닐까? 정치는 다른 사람이 보기엔 쉬워 보이지만 가면 갈수록 복잡하고 미묘해 아무리 뛰어난 정치인도 정무적 판단을 내리기가 어렵다고 한다. 정치인뿐이겠는가. 한 번 어긴 약속으로 신뢰를 회복하는 데까지는 10번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한다. 그가 이랬다저랬다 한다는 정치적 이미지가 형성된다면, 향후 이는 윤 전 총장에게 큰 정치적 부담이 될 것이다. 일반인들이 윤 전 총장의 기사에 덧붙인 부정적 댓글은 따라서 윤 전 총장의 정무적 판단을 도와줄 수 있는 캠프-작든 크든-가 빨리 꾸려져야 한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