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로 전환된 가운데 인천광역시도 신속한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해 1조 2,000억 원가량의 '인천시 일상회복·민생경제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박남춘 시장이 오늘 11일 인천광역시의회 의장, 10개 군수 및 구청장과 함께 모인 자리에서 '인천시 일상회복·민생경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인천시가 내놓은 방안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인천형 민생대책, 나머지 하나는 인천형 방역대책.
먼저 인천형 민생대책 내용으로는 소비지원금 5,430억 원을 비롯해 피해업종 특별지원 2,101억 원, 일자리 및 생활안정지원 4,093억 원 모두 1조 1,624억 원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지원금 5,430억 원에는 △ 전 시민 대상 10만 원씩 지급(3,010억 원) △ 인천e음 캐시백 10% 한도 유지(2022년 예산소진시까지, 2,192억 원) △ 영유아 보육재난지원금 102억 원이 해당된다.
2,101억 원이 투입되는 피해업종 특별지원에는 △ 연 매출 3억 원 이하 영세 자영업자와 폐업사업자를 대상으로 2022년 1월부터 1인당 25만 원씩 지급하는데 각각 550억 원과 140억 원을 지원한다.
또 △ 소상공인 경영비용 부담 완화에 233억 원 △ 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에 646억 원 △ 농어업인 공익수당에 343억 원 △ 관광, 마이스, 문화예술 분야 지원 및 육성에 28억 원을 쏟아 붓는다.
일자리 및 생활안정지원에는 4,093억 원을 지원키로 했다. △ 청년 대상으로 월 20만 원씩 연간 240만 원의 월세 지원(106억 원 투입, 4,400명에게 지원)하는 등 청년 생활 안정과 일자리 지원 등에 1,304억 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한다. 여성과 노인, 저소득층 등 공공일자리 늘리기에도 2,789억 원을 투자한다.
인천 방역대책으로는 과잉 방역에서 지속가능한 일상 방역 태세 유지 원칙 기조로 전환하기로 했다.
검사 및 방역과 관련해 일일 5,000명까지 24시간 이내 공공검사 역량을 유지하고, 단계적 일상 회복 속 핵심방역 수칙을 준수하되 집단 감염이 발생한 업종과 지역은 행정명령을 즉시 발동키로 했다.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치료 체계도 철저히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재택 치료를 기본으로 하되 환자 유형에 따라 치료 체계를 운영한다는 것이다. 또 하루 확진자 500명까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1,400병상 수준의 확보 계획도 마련했다.
박남춘 인천광역시장은 "인천시가 방역 모범도시에서 일상과 경제 회복의 선도 도시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시민 여러분도 하루 속히 안전한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방역 수칙 준수와 백신 접종을 통해 협조, 배려하며 서로 응원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