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 청년 인구 유출이 심각하지만, 반대로 청년 인구가 많아서 행복한 고민인 지자체도 있다. 서울 관악구 이야기다.
관악구에 거주하는 2030 청년 인구는 2021년 기준 약 19만 4,000명으로, 관악구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한다. 청년 인구수가 전국 1위다.
서울대가 있어 청년 인구가 많은 이유도 있지만, 타 지역에서 서울로 이전하는 경우 1순위 거주지로 꼽히는 곳이 관악구다. 그도 그럴 것이 일자리가 많은 강남과 접근성이 높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거비와 물가 등이 젊은 세대를 흡수하는 이유다.
관악구가 청년정책 종합계획을 수립, 시행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은 인구 특성이 뒷받침하게 됐다.
관악구에 따르면 청년 인구 전국 1위에 걸맞은 청년 도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청년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관악구가 설계한 청년 정책 종합계획은 청년 정책 활성화는 물론 창의적인 사회 활동을 지원해 자립 기반을 마련하고 역량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알려졌다.

청년의 종합 활동 거점 공간인 ‘관악 청년청’을 세우고 참여를 늘려 참여‧권리 분야 사업도 추진키로 했다. 올해 5월 완공 예정인 ‘관악 청년청’은 연면적 1,528.86㎡(약 462평) 규모에 지하 1층~지상 7층으로 구성된 청년 허브 공간으로 130억 원이 투입됐다.
주요 시설에는 2층 청년 커뮤니티 공간 청년카페, 3‧4층은 행사를 위한 강당과 세미나실, 5층은 개인 작업실과 1인 미디어실, 6‧7층은 멘토링실, 청년 창업보육실, 공유 부엌이 들어선다. 이곳은 청년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청년들의 잠재 능력을 키우고 취‧창업, 문화‧예술 활동 및 커뮤니티 지원 등 청년이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구는 내다보고 있다.
청년 정책의 실수요자인 청년의 참여 확대를 위해서도 힘쓴다. 특히 민관 거버넌스 청년정책위원회와 관악청년네트워크 중심으로 청년 주도로 청년 정책의 방향과 문제, 개선 사항과 같은 의제를 발굴하고 제안도 추진한다.
또 관악구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을 통해 관악구 비영리단체와 청년을 연결하고, 인건비도 지원한다. AI 이적성 검사와 면접 체험관 운영, 청년 취업콘서트 등 취업을 지원하는 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주거 분야에선 역세권 청년 주택 공급 사업을 지원키로 했다.
청년 희망 아카데미와 청년 취업역량 강화, 4차 산업 IT청년인재 양성, 청년 공방 운영 등 청년들의 능력 개발을 위한 맞춤형 교육도 진행된다.

저소득층 청년들의 자산 형성 지원과 으뜸관악 청년통장 지원 사업을 통해 관악구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자산을 형성하도록 곁에서 돕고 근로 활동도 장려키로 했다.
관악구 청년정책과는 “코로나19로 바뀐 노동시장과 비정형 비임금 근로 고용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청년 자립 기반 구축과 체계적인 청년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라며 “청년과의 소통과 참여 기회를 확대해 청년의 목소리가 구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