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고의 인공지능 전문가 최승진 포항공대 교수가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작동 원리와, 우리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활용해 보면 좋음직한 세계적인 수준의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를 소개한다. 자료최승진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인공지능의 가장 단순한 개념은 자동화 기계다. 이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부터 중국의 《삼국지연의》 등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이렇듯 인공지능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상당히 오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자계산기의 초기 모델이 개발된 1950년대부터는 인공지능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초창기의 낙관적인 기대와 달리 인공지능은 다른 전산 분야에 비해 상당히 더디게 발전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텍스트, 자연어, 이미지, 동영상 등)를 활용해 인공지능의 세부 문제를 해결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이 높은 정확도를 제공함에 따라 인공지능 연구의 주류로 대두되었다. 머신러닝이 성공할 수 있는 까닭은 크게 두 가지였다.첫째로는, 인터넷이 등장하고 IT기기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대부분의 머신러닝 알고리
스마트폰의 탄생이 ‘산업혁명’이라고 불리웠지만 지금 일어나는 첨단 혁명은 그에 비교도 안될 정도로 폭발적이다. 첨단 산업의 동향을 소개하고 이해를 도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고민하고 있는 우리 공직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특집을 준비했다. 다시 한 번 거대한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애플이 아이 폰으로 모바일 혁명을 일으켰던 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다. 그 주역은 딥러닝이 기반이 된 인공지능과 로봇 공학, 자율주행차와 전기자동차, 드론,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기기(VR Machine), 3D·4D프린터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다. 이제 곧 당신은 운전대에 손을 대지 않고 인공지능이 쓴 인터넷 기사를 읽으며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다. 집에 전깃불이나 보일러를 끄지 않았는지 스마트폰 터치 한 번으로 확인 가능하고, 3D프린터가 만든 패스트푸드를 먹으며 차 안에서 가상 현실기기를 착용하고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이는 동화책에 나올 법한 머나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당장 실현되고 있는 현실이다. ‘자동차업계의 애플’ 테슬라(Tesla)의 엘론 머스크가 만든 전기차 ‘모델3’ 은 2000만 원대의 가격으로 1억 원이 넘는 전기
《월간 지방자치》 이영애 편집인은 오렌지 카운티 최초의 한인 단체장(CEO)인 프랭크 김(Frank Kim)을 만나 대면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번 호에는 오렌지 카운티 시에 정보 공개 및 시민 참여와 관련된 서면 질의를 직접 요청해 답변을 받았다. Orange County government believes in transparency and openness when dealingwith the public’s business. We believethat the public has a right to review all records of government unless there is an express and justifiable reason to withhold the information(privacy, legalconcerns, etc.). We provide information upon request daily. 오렌지 카운티 정부는 대민 업무 처리에 있어 ‘투명성 원칙’과 ‘공개 원칙’을 지향한다. 카운티 정부는 사생활 또는 법률적 문제와 관련된 정보 등 비공개 해야 할 정당한 이유나 긴급한 문제가 없는 한, 카운티 업무와 관련된 모든
경기도 구리에서 첫 지방행정 역량강화 간담회 열어 행정자치부는 구리아트홀에서 ‘지방자치 20년’을 맞아 17개 시도를 방문·토론하는 ‘지방행정 역량강화 간담회’의 첫 모임을 가졌다. 정종섭 장관은 “이번 간담회는 현장의 어려움과 현실을 가감 없이 제도나 정책에 반영하고자 기획됐고, 이와 연장선상에서 자치단체 눈높이의 조직·인사 시스템을 설계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기대에 걸맞게 현장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쟁점사항에 대해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김성렬 지방행정실장은 토론에 앞서 “자치 현장에서 열심히 하고 있는 공무원의 어려움과 고민을 듣고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왔다”면서 “실제현장에서 조직 또는 인사운영의 애로사항 등 지방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려 달라”고 말했다. 행자부는 인사·조직 혁신방안으로 지자체 복수직급제 도입, 지자체 간부공무원 역량평가제 등을 제안했고, 이어 자유토론이 이어졌다. 홍정선 자치제도혁신단장은 “지방자치 20년을 맞아 그동안의 지방자치에 대한 평가가 진행 중인데, 오늘 자치현장에서 살아 있는 이야기를 보고 들으니 느낌이 남다르다”며 “오늘 소중한 의견을 자치제도혁신단에서도 좀 더 고민해 현실적인 제도개
2014년 국민이 정책을 만드는 행복한 나라라는 슬로건으로 민관소통위원회(이하 민소위)가 힘차게 출발했다.민소위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가면 좋을지 그동안의 다양한 의견을 정리했다. 이영애 민소위 이사장: 대통령께서도 이제는 국민이 정책을 만들고, 제안할 수 있게 하자고 했는데, 국민이 주인이 되는 행복한 나라를 민관소통위원회가 만들어가야 합니다. 국민이 주도해서 자신들이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고, 그렇게 나온 정책은 공무원이 돕는 나라를 우리가 만들면 어떻겠습니 까? 계란으로 바위를 치면 분명히 계란이 깨지겠지만 치고또 쳐서 바위에 노란 물이라도 들일 수 있을 때 변화가 시작 됩니다. 강병규 민소위 이사, 전 안전행정부 장관: 민관소통위원 회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제안들이 발굴되어 정책으로 반영되면 좋겠습니 다. 민관소통위원회가 기존의 국민권익위원회나 부처별 민원창구와는 차별화를 꾀하고, 쉽게 청원할 수 있도록 하고, 관이 수용할 수 있도록 정책화해야 합니다. 김순은 민소위 이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우리나라는 지난 20~30년 동안 공직사회의 탁월한 노력으로 압축 성장, 경제성장을 이뤘지만 그 과
박근혜 정부는 기존의 정부 운영 방식으로 풀기 어려운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이 행복한 희망의 새시대를 펼쳐나가기 위해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정부 운영 패러다임으로서 정부3.0을 도입했다.정부3.0이란 정부가 가진 정보와 데이터를 국민에게 개방·공유하고(투명한 정부), 부처 칸막이를 없애 일을 제대로 하는 정부를 만들고(유능한 정부), 국민 한 명 한 명이 행복한 맞춤형서비스를 제공하여(서비스 정부), 국민 들이 주도적으로 정책과 서비스를 설계하는 ‘국민 참여형 정부’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정부3.0시대는 국민이 요구하기 전에 정부가 먼저 국민이 원하는 것을 서비스하며, 정부 운영 방식을 국가 중심 에서 국민 중심으로 바꾸는 전면적인 혁신을 추구한다.정부3.0의 추진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국민의 생활은 편리해지고, 부처 간 칸막이 제거와 클라 우드·빅데이터 활용으로 정부는 더 유능해졌다. 또한 고가치·고수요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창업이 활성화되었으며, 정부가 보유한 정보를 소상히 공개함으로써 국민의 정부에 대한 신뢰는 높아지고 있다. 생활을 편리하게 1.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 과거에는 상을 당했을 때, 사망 신고는 자치 단체(
공공데이터 개방 및 이용 활성화 지난 3년간 정부는 공공데이터 개방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정부3.0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을 펼쳐왔다.2013년 10월 공공데이터법(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시행하였으며, 공공데이터 전략위원회 출범,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 기본 계획(2013~2017), 공공데이터 개방 발전전략(2014. 9) 등을 수립하는 등 정책 시행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여기에 힘입어 공공데이터 개방과 활용은 눈에 띄는 성장을 보였다. 2013년 5000여건이었던 데이터 개방 건수는 2015년에는 1만6000건으로 3배 이상 늘어났으며, 국민 이용 건수도 2013년 1만4000건에서 2015년 78만 3000건으로 56배나 증가했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웹이나 앱 서비스도 2013년 42건에서 2015년 695건으로 17배로 크게 늘어났다. 공공기관이 공공데이터를 활용 하여 민간시장을 침해하는 유사·중복서비스에 대해서도 정비를 실시하여 기상청 날씨 앱 등이 폐지되었으며, 공공기관의 유사·중복서비스 정비 의무화 근거 마련 등을 위한 공공데이터법도 개정(2016. 1.)되었다. 2014년 말
이제 관이 혼자 정부서비스를 주도해서는 발전하기 어렵다. 해외 여러나라에서 민과 관의 소통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제도를 살펴봤다. 주민참여예산제의 발원지,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레 브라질의 도시 포르투알레그레는 인구 130만명의 작은 도시로 공공투자부문에 대한 예산을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결정하는 주민참여예산제의 발원지다. UN에서 ‘행 정투명성을 보장하는 가장 혁신적인 방법 중 하나’로 평가받은 주민참여예산제는 매년 3월 시의 16개 지역 각각의 지역총회에서 시작된다. 많게는 1000명이 넘게 참석하는 총회에서는 지난해의 계획과 예산을 검토하고 자신들을 대변할 대의원들을 선출한다. 이 과정에서 시장과 참모들이 회의에 참석해 주민들의 질문에 답변하 기도 한다. 지역별 총회는 모든 이에게 개방되어 있지 만, 지역 주민에게만 표결권이 있으며 교통, 보건·사회 복지, 경제 개발·조세, 도시 개발, 교육·레저 등의 예산을 배분하고 결정한다. 7월부터 매주 1회 개최되는 평의회를 통해 예산이 사용될 곳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연말에 시의회에 제출하면 의원들이 승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평의회는 시의원들을 개별적으로 만나거나 의사당 밖에서 대규모
소진광 가천대학교 대외부총장 공익과 공직사회의 위상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다. 둘이 모여 관계를 맺고, 관계를 엮어 사회를 만든다. 그래서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 불린다. 이 과정에서 개인의 특성은 다른 사람의 특성과 섞이며 무뎌지고 표준화되어 대중사회를 이룬다. 개인의 이익이 사회 공통의 이익으로 확대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원시사회는 인간의 사회형성 과정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설명 틀이다. 식량을 찾아 이동하면서 다른 집단과의 충돌이 불가피했을 것이고 이러한 충돌과정에서 집단끼리의 갈등이 발생하여 작은 집단으로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한 일은 가까운 혈연끼리 뭉쳐 씨족사회를 구축함으로써 해결되고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씨족사회는 삶의 공동터전을 관리하고 유지하면서 지리적 연고성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형성하고 씨족의 안녕을 기원하였을 것이다. 씨족사회의 공간적 활동범위가 확대되면서 인접하여 활동하던 다른 집단과의 분쟁이 발생할 수 있고 보다 넓은 공동체 형성을 통해 분쟁을 유리한 쪽으로 이끌고자 하는 욕망이 결국 부족사회와 부족국가를 형성하게 하였다. 어느 사회든 인간이 생존하는데 필요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개인이 모
《월간 지방자치》는 2016년 새해를 맞이하여 변화하고 발전하는 공직사회를 만들기 위해 전국 540명 공직자들과 952명의 국민들에게 공직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설문조사를 받았다. 공직자가 바라본 공직자 설문조사 1. 공무원이 되고자 한 가장 큰 이유는 다음 중 무엇입니까? ①신분보장 … …………………………… 24.4% ②보수&연금 … ………………………… 15.6% ③차별없는 인사제도 ………………………8.9% ④사회적 평판 …………………………… 11.9% ⑤부모·친지 권유 …………………………8.9% ⑥국민에게 봉사하고자 하는 마음 … …… 25.2% ⑦기타 … ……………………………………5.2% 2. 공직생활의 만족도 향상과 공무원의 사기 앙양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보수 인상 ……………………………… 23.2% ②공정한 인사관리 ……………………… 27.5% ③교육·학습의 질 향상 및 기회 확대……… 10.1% ④실적에 따른 성과급 지급 … ……………2.9% ⑤공정한 근무성적평정제도 ………………6.5% ⑥학자금·수당 등 복지제도 … …………5.8% ⑦근무환경 … ………………………………5.1% ⑧연금의 안전성 ………………